Super Kawaii Cute Cat Kaoani '연구/Python' 카테고리의 글 목록
728x90

연구/Python 5

[Python] 딕셔너리 key 추가, key 있는지 확인, key값만 불러오기, 정렬

파이썬 딕셔너리는 사용법만 익히면 굉장히 편리하다. 딕셔너리에 key를 추가하고,딕셔너리에 특정 key가 있는지 확인하고, 딕셔너리의 key값들만 불러오고, 딕셔너리를 value값을 기준으로 정렬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1. 딕셔너리에 key추가하는 방법my_dict = {}my_dict['apple'] = 3print(my_dict) # {'apple': 3}이런식으로 새로운 key값에 대해 값을 지정해주면 딕셔너리에 key:value쌍을 추가할 수 있다. 2. 특정 key가 딕셔너리에 있는지 확인하는 방법if 'apple' in my_dict: print('Key exists!')else: print('Key does not exist.')key in dict 과 같이 in을 통해 쉽게 확인..

연구/Python 2025.04.02

[Python] 파이썬 리스트 전치 시키기

numpy 같은 외부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지 않고 파이썬에서 2차원 list를 전치시키는 방법이다. graph = [list(map(int, input().split())) for _ in range(N)]transposed_graph = [list(row) for row in zip(*graph)]graph를 전치시킨 transpose_graph를 생성하는 과정이다. 동작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graph는 graph의 각 행을 개별 리스트로 풀어준다. 즉 [matirx[0], matrix[1], matrix[2]]...를matrix[0], matrix[1], matrix[2]...로 풀어준다 2. zip()은 동일 인덱스 요소를 묶어서 튜플로 변환해준다. 즉, zip([1, 2, 3], [..

연구/Python 2025.03.16

[Python] 파이썬 입력받기

파이썬에서 입력을 받는 방법이다. 50 0 1 0 00 0 0 0 00 0 0 0 00 0 0 0 00 0 0 0 060 0 0 0 0 00 1 0 0 0 00 0 0 0 0 00 0 0 0 0 00 0 0 0 0 00 0 0 0 0 0 이런식으로 n, nxn의 입력이 들어올 때 파이썬에서는 다음과 같이 입력을 받을 수 있다. n = int(input())먼저 input()으로 받으면 string 형태로 들어오게 되므로 int로 형변환을 해주어야한다. 그리고 nxn의 입력을 받아받아 [[0, 0, 1,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과 같이 저장해주어야하는데 방식이 조금 어색했다. graph = [lis..

연구/Python 2025.03.10

파이썬에서 객체(+ 여러 객체)를 파일로 저장하고 불러오기

객체를 파일로 저장하는 과정: 피클링 파일으로부터 객체를 불러오는 과정: 언피클링 이라고 한다. 위의 과정들은 파이썬의 pickle 모듈을 사용하여 진행할 수 있다. 1) 객체 하나를 파일로 저장하고 로드하기 객체를 file로 저장하는 피클링은 다음과 같이 하면 된다. 이때 file의 확장자 명은 .p, .pickle 등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주의해야하는 점은 file을 'wb' 모드로 오픈해야한다는 것이다. b는 binary라는 뜻으로 컴퓨터가 처리하는 파일 형식으로 오픈한다는 의미이다. import pickle a = Motion() with open('file 경로', 'wb') as f: pickle.dump(a, f) 저장된 파일로부터 객체를 로드하는 언피클링은 다음과 같이 하면 된다..

연구/Python 2023.04.04

파이썬 메모리에서 객체 지우기

파이썬 메모리에서 객체를 지우고 싶을때는 del 키워드와 gc.collect()를 같이 사용해야한다. del 키워드만 사용해서 객체를 지울경우 네임스페이스에서 해당 객체가 사라져 참조는 안되지만 여전히 메모리상에 객체가 존재하는 상태이기 때문에 꼭 gc.collect()를 같이 해주어야한다. import gc a = Motion() # a를 메모리 상에서 지우는 과정 del a gc.collect() gc.collect()에 대한 설명을 덧붙이자면, gc.collect()는 순환 참조 탐지 알고리즘을 통해 도달가능한 객체(reachable)와 도달 불가능한 객체(unreachable)로 구분한다.여기서 도달 가능한 객체의 경우 세대를 이동시키고, 도달 불가능한 객체의 경우 콜백을 수행 후 메모리에서 해제..

연구/Python 2023.04.04
728x90
728x90